프로그래밍/스프링프레임워크

Spring Boot 웹애플리케이션에서 서비스 포트와 컨텍스트 패스를 변경하기

pentode 2019. 9. 29. 00:23

Spring Boot 웹애플리케이션을 Spring Boot Web Starter 설정을 사용해서 만들어서 실행하면 서비스 포트와 컨텍스트 패스는 다음 설정을로 실행됩니다.


- 내장 톰캣 서비스 포트 : 8080

- 컨텍스트 패스 : ''(root context)


이 설정을 바꿔려면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이번에 사용된 예제는 "Spring Boot + Kotlin + Thymeleaf 프로젝트 만들기" 의 예제를 Spring Boot + Java + Thymleaf로 바꿔서 테스트 했습니다.(Kotlin을 공부할 시간이 잘 나지 않네요. 자바에 Thymeleaf로 Thymeleaf를 먼저 공부해봐야 겠습니다.T.T)


앞의 프로젝트 생성과 바뀐점은 언어를 Kotlin에서 Java로 바꾼것과 Spring Boot 버전을 2.2.0.M6으로 바꾸었습니다.


기본설정을 하고 실행하고 Console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



포트가 8080이고 context path 가 '' 인것을 알 수 있습니다.


이 설정을 변경하려면 /src/main/resources/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에 변경할 내용을 적으면 됩니다. application.properties파일의 변경된 내용입니다.(처음에는 아무 내용도 없습니다.)


server.port=8090

server.servlet.context-path=/example


변경 후 재시작할 결과 입니다.



포트가 8090으로 컨텍스트가 /example로 변경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Spring Boot는 설정들이 미리 만들어져 있어서 필요한 설정 셋을 pom.xml 파일에 적어 주기만 하면 되므로 설정이 간단하다고 합니다. 하지만 그것을 벗어나는 변형된 설정이 필요할 경우 필요한 설정 방법을 찾기가 좀 힘들것 같습니다.


Spring Boot Reference Guide 의 Appendex A 를 보면 application.properties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옵션들이 리스트 되어 있습니다.


반응형